언론이 본 동아
-
[1주년 인터뷰] 권오창 동아대총장 “실천 없이는 동아대의 옛 명성을 되찾기는 어려워”
2013.07.31 조회수 471
권오창 동아대총장 “실천 없이는 동아대의 옛 명성을 되찾기는 어려워” 권오창 동아대 총장 취임 1주년 인터뷰▲ 권오창 총장이취임 1주년을 맞아그간의 소회를 피력하고있다. 사진제공=동아대[이뉴스투데이 부산경남취재본부 전용모 기자]이뉴스투데이 부산경남취재본부는 권오창 동아대학교 총장 취임 1주년을 맞아 그간의 소회와 발전계획을 들어봤다. 다음은 권오창 총장과의 일문일답이다.-권오창 총장님께서는 지난해 8월 1일자로 제14대 동아대학교 총장님으로 취임하셨습니다. 벌서 1년이 지났고, 동아대학교의 옛 명성을 찾기 위해 안팎으로 열심히 노력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간의 소회를 간단히 밝혀주시죠.“어느 자리에 가서도 밝히는 말이지만 동아대는 언제나...
-
동아대 서정화 교수 논문, 세계 최고 권위지 게재
2013.07.31 조회수 12451
동아대 서정화 교수 논문, 세계 최고 권위지 게재화학분야 ‘JACS’ 최근호…신소재 합성 새로운 분야 개척 평가유기 트랜지스터 소자로서 응용 가능 세계 최초 밝혀서정화신소재물리학과 교수 동아대학교 서정화(사진) 신소재물리학과 교수의 논문이 최근 화학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인 ‘JACS’(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impact factor: 10.667)에 실렸다.논문 제목은 ‘좁은 밴드갭을 가지는 두 가지 양이온 공액성 고분자 전해질의 합성과 물성’(Synthesis and Properties of Two Cationic Narrow Band Gap ...
-
[과학에세이] 물의 유별남 - 김정균 화학과 교수
2013.07.31 조회수 5101
[과학에세이] 물의 유별남서로 빈곤 채워주는 모든 생명체의 고향…기하급수적 소비로 인구 절반 기근 직면김정균화학과 교수지루했던 장마를 지나며 물에 생각이 머문다. 물은 많은 화합물들이 가지는 일반적 성질과는 거리가 먼 '유별난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물이 사전적 의미의 '보통성질'을 가지지 않았다면 자연계에서 생명체들의 존재는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물은 '유별남과 보통'이라는 두 이질성을 동시에 내포한 몇 안 되는 유별난 물질 (unusual matter) 중의 하나가 된다.물이 가지는 이 '유별남'을 데이비스는 그의 저서 과학의 거울에서 "생명체가 탄생하고 진화하는 과정에서 포괄적 의미의 위대한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가능케 하는 성질&q...
-
[옴부즈맨 칼럼] 지역 신문에서 '중고생 지면'이 의미있는 이유 - 이국환 문예창작학과 교수
2013.07.31 조회수 3597
[옴부즈맨 칼럼] 지역 신문에서 '중고생 지면'이 의미있는 이유다매체 환경 속 위기, 탈지역화가 아닌 철저한 지역화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이국환문예창작학과 교수지역신문이 위기라고 할 때, 위기의 진원지는 '지역'과 '신문' 중 어디일까. 신문의 위기는 이종 매체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발생하기에 중앙지들은 이미 종합편성채널로 플랫폼을 다양화해 돌파구를 찾고 있다. 자본 경쟁에서 밀리는 지역신문은 신문의 위기와 지역의 불리함이라는 이중고에 직면했다. 한편으론 지역신문 위기의 원인으로 중앙집권적 사회 구조 못지않게 지역신문 간의 과도한 경쟁을 꼽는 연구도 있다. 1987년 6·29선언 이후 언론기본법이 폐지되면서 1도(道) 1사(社)의 원칙이 ...
-
[울산매일 / 기고] 삶의 실천으로 지구온난화 방지를 - 황규홍 영어영문학과 교수
2013.07.30 조회수 6121
[울산매일 / 기고] 삶의 실천으로 지구온난화 방지를황규홍영어영문학과 교수최근 전 세계적으로 폭염, 홍수, 가뭄, 폭설 등과 같은 기상 이변과 피해에 대한 뉴스를 자주 접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요즘 메스컴을 통해 자주 듣는 말 중에는 ‘최고 기온 경신', ‘시간당 최고 강수량 경신' 등을 빼놓을 수 없다. 이 모든 것이 지구온난화의 결과라는 것은 유치원생까지 다 아는 사실이 되었으며, 여러 기관과 단체가 한 목소리로 온난화 방지에 동참하라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의 주변을 살펴보면 이러한 기후 변화와 캠페인은 자신과는 무관하다는 식의 삶을 사는 사람이 허다하다. 과연 뜨거워지는 지구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몇이나 될까? 확...
-
[시사프리즘] 정전 60년, 한국형 개발원조가 핵심가치 - 국제전문대학원 황기식(비서실장) 교수
2013.07.29 조회수 4826
[시사프리즘] 정전 60년, 한국형 개발원조가 핵심가치 원조 공여국된 한국, 역경극복 사례 모아 융·복합 콘텐츠 개발…사회통합 활용해야’황기식국제전문대학원 교수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이후, 올해 7월 27일로 정전협정을 체결한 지 60주년이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우리나라는 정전을 선언한 직후 최빈개도국으로 분류되었다. 35년간 일제에 의한 식민 수탈을 겪고, 5년 만에 다시 동존 상잔의 전쟁이 발발하여 3년여간 국토 거의 대부분이 전장이 되었으니 변변한 기반시설이나 물자가 남아 있을 리 없었다. 정전 후,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식량과 생필품의 원조를 받았던 한국은 이미 2010년 국제원조 관련 중심조직인 OECD DAC 가입...
-
[울산매일/기고]치매, 예방이 우선이다 - 박경원 동아대학교병원 교수
2013.07.24 조회수 2519
[울산매일 / 기고] 치매, 예방이 우선이다박경원동아대학교병원 교수·신경과·기억장애클리닉최근 5년만에 치매 환자가 3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06~2011년 치매진료기록자료에 따르면, 치매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06년 10만 5,000여명에서 2011년 31만여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해마다 평균 24.3% 늘어나 5년만에 약 3배 가량 늘어난 것이다. 치매 총 진료비와 1인당 진료비도 늘었다. 총 진료비는 2005년 1,306억 원에서 2010년 8,102억 원으로 6.1배 증가했다.1인당 진료비는 310만원으로 2005년(156만원)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었다. 치매는 진단받은 환자의...
-
Pride in Dong-A『총장 소식 No.10』
2013.07.11 조회수 2360
-
[YTN 인터뷰] 권오창 동아대학교 총장 - 세상을 향한 도약
2013.07.09 조회수 1493
-
동아대 토목공학과 이태윤 박사,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2013.07.08 조회수 2579
동아대 토목공학과 이태윤 박사,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지난 5일 ‘2013년도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서 수상논문 ‘Bar 타깃을 이용한 DMC 영상의 공간해상력 검증’이태윤토목공학과 박사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측량연구실(지도교수 이재원) 이태윤 박사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한국과총)에서 주최한 ‘2013년도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에서 제2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시상식은 지난 5일 부산 해운대구 우1동 벡스코 컨벤션홀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이 박사의 수상논문은 ‘Bar 타깃을 이용한 DMC 영상의 공간해상력 검증’이다. 측량분야의 최첨단 장비인 항공디지털카메라의 공간해상...